Menu
경주이씨의 연원시조파 소개세계도시제/행사항렬표역대중요인물유적유물
이경일
     

1734(영조 10)∼1820(순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원회(元會), 호는 청헌(聽軒). 항복(恒福)의 6대손이며, 세장(世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문좌(文佐)이고, 아버지는 진사 종열(宗悅)이며, 어머니는 강석창(姜碩昌)의 딸이다. 도사 종악(宗岳)에게 입양되었다.

1768년(영조 44) 음덕으로 관직에 나와 온릉참봉ㆍ덕산현감을 지내고, 1775년 문과정시에 을과로 급제, 예조좌랑ㆍ사간원정언ㆍ홍문관부수찬ㆍ대사간ㆍ대사성ㆍ이조참의ㆍ황해도관찰사ㆍ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 1800년(정조 24) 공조판서에 오른 다음 이어 대사헌ㆍ우참찬ㆍ형조판서ㆍ한성부판윤ㆍ좌참찬 등을 지냈다. 1804년(순조 4)에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올랐다.

우의정으로 있을 때, 성학(聖學)에 힘쓰고 정치기강을 바로잡을 것 등 제반시책을 건의하여 받아들여졌으며, 1808년 나이 75세에 봉조하(奉朝賀)가 되고 오은군(鰲恩君)에 피봉되었다. 저서에는 시문을 모은 『청헌유고』가 있다. 시호는 효정(孝定)이다.